구글과 어도비가 문자의 존속성과 가치, 사회환원등의 이유로 3년간의 문자 개발을 통해 배포한 이 글자는 한,중,일등의 다양한 서체를 지원하는 장기 프로젝트로(다른 국가의 언어도 모두 있습니다) 고딕과 명조 두 가지 타입으로 전 세계에 배포되었으며,
완성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우리는 잘 사용하지 않는 외계어를 포함해 폰트를 제작했습니다. 기업이 공동으로 개발했기 때문에 구글은 노토산스(noto sans)라는 이름으로, 어도비는 본고딕(Source Han Sans)이라는 이름으로 배포를 시작하게 됩니다.
목차
- 낮은 용량으로 사용하기
- 노토산스(noto sans)를 써야하는 이유
- 유지보수에 한 걸음 다가가기
- 해결책
- 5줄요약
🔨 낮은 용량으로 사용하기
앞서 본고딕체 소개에서도 말씀드린것처럼 외계어를 포함해 폰트를 제작한 완성형 폰트에 가깝기 때문에 용량이 무시못하게 큰 단점이 있습니다. (명조,고딕 풀세트로 설치할 경우 300MB를 넘는 이 어마무시한 용량...)
이 때문에 웹,앱 개발자,디자이너들은 외계어를 포함하지 않고 사용빈도가 없는 폰트를 프로그램으로 제거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웹,앱의 디자인 및 개발작업의 경우 용량이 핵심이기 때문에 필수사항입니다.
😍 노토산스(noto sans)를 써야하는 이유
구글과 어도비 모두 노토산스(본고딕)를 지원하고 배포하는 도중 어도비에서 클라우드 개념으로 유료버전을 전환 후 통합 클라우드를 통해서만 프로그램을 작동할 수 있게 바꾸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출시하게 되는데요.(정액제의 개념이 도입됩니다)
이 중에 무료 폰트를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불러와 적용시킬 수 있는 어도비 Typekit을 도입함으로써 모든 어도비 프로그램 들은 폰트 제어를 받게 되었고, 폰트 세팅시 어도비 자체 프로그램을 통해 먼저 폰트를 설정하도록 권유받습니다.
😍 유지보수에 한 걸음 다가가기
현재는 Typekit이 어도비 폰트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제공되고 있습니다. 찾고 사용하는것은 좋지만, 클라우드 폰트 시스템으로 설정한다면 묶여있는 원본파일은 오프라인에서는 폰트를 찾을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해 이는 작업의 유지보수를 현저히 낮추는 현상을 발생시킵니다.
❗ 해결책
다른사람이 했던 원본파일을 받았을때 폰트를 설치해도 느낌표가(!) 뜨는 현상을 겪으신 많은 디자이너분들은 그 스트레스를 말 안해도 느끼실 듯 싶습니다. 이 부분에서 원본작업자는 유지보수를 신경쓰지 않고 작업했다 보아도 무방한데요, 본고딕체를 공동개발 했지만 유지보수 측면에서는 어도비 본고딕(Source Han Sans)체는 폰트를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묶어 자체적인 폰트 서비스를 구축하려는 듯한 모습을 진행 하고 있으니 오프라인까지 유지보수를 신경쓰시는 분들은 구글에서 노토산스를 다운받아 사용 할 것을 권장드립니다. (용량작은 버전)
😁 5줄요약
1. 본고딕은 용량이 매우 크다.
2. 우리가 알고있는 본고딕과 노토산스는 같은 폰트다.
3. 기업마다 배포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해도 각각 다른 폰트로 인식한다 (짜증)
4. 그런데 어도비는 이제 클라우드로 본고딕(Source Han Sans)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아...짜증..)
5. 구글폰트에서 노토산스로 설치하되 웹,모바일,앱용으로 사용할 때는 용량작은 버전을 사용하자 (그래도 널 포기할 수 없다)
아..물론 어도비 유료사용자에게만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클라우드 버전 이상의 프로그램을 사용 하지 않는 CS6이하 버전 크랙사용자분들은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래도 경험상.. 경력이 쌓이면 무조건 유료를 어떻게 해서든 쓰시게 될 것이니 숙지하시면 좋을 듯 싶네요 :)
※내용 참고 및 이미지 출처 : Adobe font, Google Noto Fonts
'Design > 퍼블리싱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컬러 조정하기 (css color) (0) | 2022.12.07 |
---|---|
CSS 소개와 사용방법 (CSS가 뭔가요?) (0) | 2022.12.06 |
https와 SSL 인증서 설치하는 방법 (0) | 2022.12.06 |
EOT와 WOFF의 차이점 (0) | 2022.12.06 |
TTF 와 OTF 폰트의 차이점 (0) | 2022.12.06 |